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ACP
- pagp
- gns3
- 티스토리챌린지
- pvst+
- 하프오픈
- port aggregation protocol
- rommon mode
- Ansible
- vlan
- 방화벽
- stream 9
- 연결선 수
- SQL
- Network Design
- 네트워크
- Red Hat
- 네트워크 설계
- eigrp
- 오블완
- BPDU
- freeradius
- ospf
- centos
- Packet Tracer
- 네이티브 vlan
- junos os
- STP
- 프로그래머스
- Cisco
- Today
- Total
Doctor Pepper
인터넷의 발전 본문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인터넷(네트워크)의 발전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인터넷 기술이 어떻게 현재의 복잡하고 거대한 인프라로 성장하게 되었는지와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중요한 전환점들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1. 인터넷의 발전
먼저, 네트워크 분야의 종사자들이라면 인터넷의 발전에 대해 대충을 알고 있을 것이다.
- 1969년 : ARPANET의 시작
인터넷의 기원은 1969년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ARPA)이 개발한 ARPANET에서 시작되었다. ARPANET은 군사 연구를 위한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여러 컴퓨터를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였다. 초기에는 패킷 스위칭 기술(Packet Switching Technology)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여러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조합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이는 당시 기존의 회선 교환 방식(Circuit Switching)에 비해 더 효율적이었다. ARPANET의 첫 번째 성공적인 통신은 UCLA와 스탠퍼드 연구소 간의 연결에서 이루어졌다.
패킷 스위칭 기술 - 데이터를 여러 개의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임 - 이 기술은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고 대역폭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함 - 현재 패킷 스위칭 기술은 인터넷과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과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함 |
회선 교환 방식 - 두 통신 단말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해 고정된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임 - 음성과 같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지만, 데이터 통신이 중심인 현대의 인터넷에서는 패킷 교환 방식이 더 많이 사용됨 |
- 1983년 : ARPANET의 분리와 TCP/IP 도입
ARPANET은 1983년에 군사용 네트워크인 MILNET과 순수 연구용 네트워크인 ARPANET으로 분리되었다. 이와 동시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이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 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프로토콜로,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전달하고,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재전송 요청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TCP/IP의 도입은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가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TCP/IP - 인터넷 및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 통신 프로토콜임 - TCP/IP는 현대 인터넷의 근본적인 구성 요소로 자리잡았으며, 컴퓨터와 네트워크 간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함 - 이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탐색하고, 이메일을 보내며,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등 다양한 온라인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음 |
- 1986년 : NSFNET 구축
미국 과학 재단(NSF) 산하에서 NSFNET이 구축되면서 인터넷은 연구와 교육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NSFNET은 TCP/IP를 기반으로 한 광역 고속 네트워크로, 56Kbps 속도로 5개의 슈퍼컴퓨터 센터를 연결하며 연구자들이 데이터를 빠르게 공유할 수 있었다. 이후 이 네트워크는 대학교와 연구소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로 기능하게 되었으며, 이는 인터넷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 1989년 : 인터넷 상업화
1989년, 인터넷은 상업적 활용을 위해 문을 열었다. 그전까지는 주로 연구 기관과 군사 목적의 네트워크였지만, 이제 기업들이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Domain Name System)이 도입되면서 웹 주소가 더 쉽게 기억되고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과 개인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비즈니스와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열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 개인이나 기업에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또는 조직을 말함 - ISP는 고객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프라를 제공하며, 다양한 서비스와 요금제를 통해 인터넷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함 - 현대 사회에서 인터넷이 필수적인 서비스가 되면서 ISP의 중요성이 급증하고 있음 |
도메인 네임 시스템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주소 체계로, 사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함 -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와 같은 기능을 하며, 웹사이트나 서버의 위치를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 1992년 : 월드 와이드 웹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가 개발한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은 인터넷의 정보 공유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다.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통합 리소스 식별자(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세 가지 기술이 결합되어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작성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정보를 쉽게 찾고 접근할 수 있게 되었으며, 최초의 웹 브라우저가 등장하여 일반 대중이 인터넷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월드 와이드 웹 - 인터넷을 통해 상호 연결된 문서와 멀티미디어 자료의 체계를 의미함 - 이는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에 손쉽게 접근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임 |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 웹 페이지 작성에 사용되는 표준 마크업 언어임 - HTML은 텍스트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고, 웹 브라우저가 콘텐츠를 어떻게 표시할지를 지시함 - HTML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현재의 HTML5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비디오, 오디오 등) 지원, 새로운 텍스트 및 그래픽 요소, 다양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의 통합 기능을 포함하고 있음 |
통합 리소스 식별자 - URI는 인터넷에서 리소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문자열임 - 특정 자원에 대한 주소를 제공하여 웹과 기타 네트워크에서 자원을 쉽게 찾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함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며, 해당 자원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함 - URN(Uniform Resource Name) : 자원의 고유한 이름을 정의하지만, 자원의 위치나 접근 방법은 포함하지 않음 - URI는 웹과 인터넷의 기반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서로 다른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함 |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 웹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임 - 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는 방식으로 작동함 -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 기반하여 작동함 - HTTP는 현대 웹의 기본이 되는 프로토콜로, 정보의 요청과 응답을 통해 다양한 웹 서비스를 지원함 |
- 1998년 :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 수 1억 명 달성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가 1억 명을 넘어섰다. 이 시기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과 케이블 모뎀 등 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가정에서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진 시점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더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했고, 많은 기업들이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게 만들었다.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 전화선을 이용하여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임 - 초기 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주요 형태로 자리잡았지만, 이후 더 높은 소곧를 제공하는게이블 모뎀, 광섬유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 등이 등장하면서 점차 그 사용이 줄어들고 있음 |
- 2005년 :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 수 10억 명 달성
인터넷 사용자가 전 세계적으로 10억 명을 돌파했다. 이 시기에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 등장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서버와 스토리지를 제공하고,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게 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IT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절감하고, 유연하게 자원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부상이 시작되어 사용자들 간의 연결이 더욱 강화되었다.
클라우드 컴퓨팅 -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저장, 관리, 처리, 분석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을 의미함 - 사용자는 물리적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소유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필요한 컴퓨팅 자원에 접근할 수 있음 - 클라우드 컴퓨팅은 현대 기업의 IT 인프라와 운영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
반면, 국내에서는 1982년에 처음 시작되었다.
- 1982년 : 한국의 인터넷 시작
국내에서는 1982년 전길남 박사님의 연구실과 서울대학교가 KT 전용 회선을 통해 컴퓨터를 연결하여 문자 전송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한국에서의 인터넷이 시작되다. 이 시스템은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으로 불리며, 국내 최초로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했다. SDN은 TCP/IP를 사용하지 않고 X.25 프로토콜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였다.
X.25 프로토콜 -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데이터 전송의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주로 은행, 정부기관, 연구기관 등에서 전산 시스템을 연결하는 데 활용됨 - 이 프로토콜은 전화망을 통해 컴퓨터 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설계되었고, 광대역 네트워크나 WAN(Wide Area Network)에서 느린 회선 속도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함 - 그러나 TCP/IP 기반의 인터넷 프로토콜이 발전함에 따라, X.25는 점차 그 역할을 인터넷 프로토콜에게 넘기고 사라지게 됨 |
- 1994년 : 상업 인터넷 서비스 도입
1990년대 중반, 인터넷은 점차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1994년에는 한국통신(KT)의 KORNET, 데이콤의 DACOM InterNet, 아이네트 기술의 누리넷이 등장했다. 이때 도입된 상업 서비스들은 전화선 기반의 모뎀을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했으며, 초기 속도는 14.4 kbps에서 시작했다. 이러한 서비스는 주로 기업과 일부 가정에 제공되었고, 인터넷 접속을 위해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접속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 시점에서 인터넷 사용자는 주로 텍스트 기반의 이메일과 간단한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공중 전화망(PSTN) - 음성 통화를 위한 전통적인 유선 전화 네트워크를 의미함 - 이 네트워크는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회선 교환 방식으로 구성되어, 사람들이 유선 전화를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함 - PSTN은 초기 아날로그 신호를 통해 음성 정보를 전달했으나, 현대에는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어 전 세계의 전화 연결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있음 - 현재에도 기본적인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중요한 인프라로 남아 있지만, 초고속 인터넷과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같은 인터넷 기반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이 점차 감소하고 있음 |
- 1998년 : 초고속 인터넷의 등장 - 두루넷
국내 최초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인 두루넷이 출시되었다. 두루넷은 케이블 모뎀을 사용해 기존의 전화선 대신 동축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최대 1 Mbps 속도를 제공했다. 이는 기존의 전화 모뎀 속도와 비교해 획기적으로 빠른 속도를 제공하여, 인터넷 사용 경험을 크게 개선했다. 이와 동시에 KT와 하나로 통신은 ADSL(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기술을 이용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경쟁에 뛰어들었으며, 이는 이후 VDSL(Very-high-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과 가정용 광섬유 서비스(FTTH, Fiber to the Home)로 발전하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속도를 자랑하게 되었다.
VDSL -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DSL 기술 중 하나로, 전화선(구리선)을 통해 인터넷에 고속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됨 - 주로 고속 인터넷 서비스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에 사용됨 - 기존의 ADSL 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지원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여러 장치를 연결하여 고화질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온라인 게임을 즐기며, 비디오 통화를 하는 등 다양한 인터넷 활동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 |
FTTH - 가정이나 사무실까지 직접 광섬유 케이블을 설치하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 - 이 기술은 기존 구리선 기반의 DSL이나 케이블 모뎀보다 더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속도를 제공함 - FTTH는 많은 국가에서 인터넷 서비스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국내에서도 FTTH 인프라를 구축하여 세계적인 초고속 인터넷 환경을 제공함 |
- 2000년대 초반 : 인터넷 벤처 붐과 포털의 발전
2000년대 초반에는 한국의 인터넷 산업이 급성장하는 시기였다. 닷컴 붐의 영향으로 다수의 인터넷 기반 벤처 기업들이 설립되었으며, 특히 포털 사이트와 온라인 게임 산업이 활발히 발전했다. 대표적으로 Daum은 국내 최초로 웹 기반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며 포털 사이트의 성장을 이끌었고, Naver는 사용자가 질문을 하면 답변을 제공하는 지식인 서비스를 통해 큰 인기를 끌었다. 또한, 넥슨과 엔씨소프트 같은 게임 기업들은 온라인 게임 산업을 선도하며 리니지와 같은 대형 게임을 출시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 2005년 : 초고속 인터넷의 세계적 선두
이후 우리나라는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과 속도 면에서 세계적으로 선두를 차지했다. 이는 주로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와 FTTH의 보급 덕분이었다.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는 기존의 전화선이나 케이블보다 훨씬 빠른 광섬유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최대 100 Mbps 이상의 속도를 제공했다. 이를 통해 IPTV, VoIP 등 새로운 인터넷 기반 서비스들이 대중화되었고, 국내 가정에서도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 2010년대 : 모바일 인터넷과 4G LTE의 확산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도로 이루어졌고, 4G LTE 기술이 상용화되며 모바일 인터넷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4G LTE는 기존 3G보다 10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여 모바일에서도 안정적이고 고속의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졌다. 이를 바탕으로 카카오톡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 모바일 쇼핑, 모바일 금융 서비스들이 급성장했으며,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모바일 게임 시장도 크게 확대되며 한국의 IT 산업은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했다.
- 현재 : 5G와 디지털 전환
현재 우리나라는 5G 네트워크 상용화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5G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물인터넷(IoT),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등 다양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기반의 서비스들이 산업 전반에 걸쳐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빅데이터 분석과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이 산업 혁신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를 바탕으로 전 세계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 과정은 인터넷이 어떻게 현재의 복잡한 네트워크 인프라로 성장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각 전환점은 기술의 진화와 함께 사용자 요구를 반영하여 인터넷 환경을 변화시켜 왔다.
'Network 심화 > 네트워크 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개념 (5) | 2024.10.15 |
---|---|
새로운 네트워크 구조의 필요성 (0) | 2024.10.15 |
네트워크의 복잡성 (4)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