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티스토리챌린지
- ansible playbook
- rommon mode
- Ansible
- 오블완
- SQL
- centos
- Red Hat
- Network Design
- vlan
- STP
- eigrp
- stream 9
- gns3
- Cisco
- 프로그래머스
- pvst+
- BPDU
- LACP
- freeradius
- ospf
- 네트워크
- 네이티브 vlan
- 네트워크 설계
- 방화벽
- 하프오픈
- port aggregation protocol
- junos os
- pagp
- Packet Tracer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freeradius 암호화 (1)
Doctor Pepper

1. FreeRADIUS 인증 설정/etc/raddb/clients.conf : FreeRADIUS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네트워크 장비)의 정보를 정의하는 파일이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FreeRADIUS 서버와 통신하여 인증 및 권한 부여 요청을 보내는 장비를 의미한다.client 203.230.7.1{ ipaddr = 203.230.7.1 secret = mysecretkey shortname = router1 # nastype = cisco}항목설명client- 클라이언트의 별칭으로 보통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로 설정함- FreeRADIUS 서버가 클라이언트와 통신할 때 사용할 설정을 정의한다.ipaddr-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지정함- IP 주소는 FreeRADIUS..
Linux
2024. 12. 24. 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