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spf
- ansible playbook
- Cisco
- 네이티브 vlan
- gns3
- 하프오픈
- vlan
- port aggregation protocol
- Packet Tracer
- 네트워크
- 오블완
- junos os
- 티스토리챌린지
- Network Design
- STP
- stream 9
- 프로그래머스
- rommon mode
- pvst+
- 네트워크 설계
- SQL
- 방화벽
- pagp
- eigrp
- LACP
- freeradius
- BPDU
- centos
- Red Hat
- Ansible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61)
Doctor Pepper

네트워크란 여러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으로, 그래프(Graph) 형태를 띄고 있다. 여기서 그래프는 정보를 처리하는 노드(Node)와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Edge)으로 구성된 자료구조이다. 1. 거시적 네트워크 모든 네트워크는 노드,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 그리고 노드 간 주고받는 메시지로 이루어져 있다. 노드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 간선은 정보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 매체를 의미한다. -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호스트(Host) :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노드로, 최초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거나 최종적으로 수신하는 장치이다. 서버 컴퓨터, 데스크톱, 노트북 등이 호스트에 포함되며, 네트워크에서는 이러한 장치를 호스트라고 불린다.서버(Server) 파일, 웹..

1.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개요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세그먼트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장비들이 IP 통신을 수행하려면, 해당 장비들은 프로토콜에 따라 정의된 물리 계층의 주소 지정 방식과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더넷에서는 MAC 주소를 사용하며, 프레임 릴레이(Frame-Relay)에서는 DLCI(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를 사용한다. - ARP : 주소 결정 프로토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IPv4 네트워크에서 IP 주소와 MAC 주소를 매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의 논리적 주소이며, MAC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한 물리적 주소이..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전송되고, 그 데이터가 누구에게 도달하는지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유니캐스트(Unicast), 멀티캐스트(Multicast)가 있다. 이 세 가지 통신 방식은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방식과 수신 대상에 따라 달라지며, 각기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브로드캐스트 브로드캐스트(Broadcast)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한 장치가 네트워크 내 모든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브로드캐스트는 특히 작은 네트워크나 로컬 네트워크(LAN)에서 흔히 사용되며, 네트워크 관리나 프로토콜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방식은 모든 장치가 특정 메시지를 수신해야 할 때 사..

1. VLSM(Variable-Length Subnet Mask) 네트워크 서브넷팅 기법의 하나인 VLSM(Variable-Length Subnet Mask)은 네트워크 번호를 여러 서브넷으로 유연하게 분할하여 다양한 크기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다. 고정된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는 FLSM(Fixed-Length Subnet Mask)과 달리, VLSM을 사용하면 동일한 네트워크 번호 내에서도 각기 다른 길이의 서브넷 마스크를 적용할 수 있어 서브넷마다 다른 수의 호스트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브넷 구조의 유연성이 크게 증가하고, 네트워크의 다양한 필요에 맞춰 서브넷 크기를 조정하여 IP 주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VLSM을 사용하면 주소 구성 관리가 다소 복잡해..

1. NTP(Network Time Protocol) 컴퓨터나 스마트폰은 항상 정확한 시간을 표시하지만, 실제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치 간의 시계가 조금씩 어긋날 수 있다. 특히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에서는 로그를 기록할 때 이벤트 발생 시간을 타임스탬프로 남기는데, 만약 각 장치의 시간이 다르면 로그의 시간 순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고 다양한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데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는 항상 정확한 시간을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NTP(Network Time Protocol)이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NTP를 통해 인터넷이나 LAN에 존재하는 NTP 서버와 시간을 동기화함으로써 각 장치는 정확한..

1. IPv4 주소의 한계 IP 주소는 글로벌 주소와 프라이빗 주소의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글로벌 주소는 인터넷상에서 고유하게 정의된 주소 범위로, 전 세계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주소이다. 반면, 프라이빗 주소는 기업이나 가정 등 로컬 네트워크(LAN)에서 자유롭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소 범위이다. 인터넷상의 단말기, 예를 들어 웹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출발지 단말기에도 고유한 IP 주소가 필요하다. 출발지 단말기에 고유한 주소가 없으면 서버가 응답할 목적지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IP 주소는 한계가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IPv4 주소는 약 42억 개에 불과하며, 그 중 우리가 사용하는 장치에 할당할 수 있는 주소의 수도 제한되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IP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