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vlan
- SQL
- Ansible
- 오블완
- Red Hat
- ospf
- rommon mode
- 방화벽
- Cisco
- 네트워크 설계
- 티스토리챌린지
- port aggregation protocol
- junos os
- BPDU
- Network Design
- STP
- LACP
- pagp
- stream 9
- 네트워크
- gns3
- 하프오픈
- Packet Tracer
- eigrp
- ansible playbook
- pvst+
- centos
- freeradius
- 네이티브 vlan
- 프로그래머스
- Today
- Total
Doctor Pepper
[Switch] 기본 및 VLAN, VTP 설정 본문
1. 기본적인 Switch 설정
스위치에서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할 때는 보안 설정, 관리 인터페이스(IP 설정), 기본 네트워크 연결 구성 등이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할 기본 작업이다.
-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
- PC: 3대
- 서버(Server): 1대
- 스위치(SW): Cisco 2960, 2대
- 라우터(Router): Cisco 2621XM, 1대

- 각 장비 설정
공통 | ※ Router 장비는 R1, Switch 장비는 SW1, SW2로 설정 Router> en Router# conf t Router (config) # hostname R1 R1(config) # ena pass cisco R1(config) # line vty 0 4 R1(config-line) # pass cisco R1(config-line) # login R1(config-line) # exit R1(config) # line con 0 R1(config-line) # pass cisco R1(config-line) # exit |
R1 | R1(config) # int fa0/0 R1(config-if) # ip add 192.168.10.1 255.255.255.0 R1(config-if) # no shutdown R1(config-if) # int fa0/1 R1(config-if) # ip add 192.168.20.1 255.255.255.0 R1(config-if) # no shutdown |
SW1 | SW1(config) # int vlan 1 SW1(config-if) # ip add 192.168.10.2 255.255.255.0 SW1(config-if) # no shutdown |
SW2 | SW1(config) # int vlan 1 SW1(config-if) # ip add 192.168.20.2 255.255.255.0 SW1(config-if) # no shutdown |
End Device(PC 및 서버)의 IP 설정은 각 장비의 Desktop > IP Configuration 메뉴에서 가능하다.

모든 장비의 IP 설정을 완료한 후, Ping 테스트를 통해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설정이 올바른지 검증한다.

- ARP와 ICMP 동작 과정 확인:
Cisco Packet Tracer에서 ARP와 ICMP의 동작 과정을 확인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른다.
- 시뮬레이션 모드로 전환 ((오른쪽 아래) Simulation 버튼 클릭).
- Edit Filters 메뉴에서 ARP와 ICMP 필터만 활성화.
- 시뮬레이션 실행 후, ARP 요청 및 ICMP Ping 동작을 확인.

2. VLAN 설정
VLAN(가상 LAN)은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더 나은 보안과 트래픽 관리를 제공한다.
- VLAN 범위
- VLAN 범위는 스위치마다 다름
- VLAN 1은 기본 VLAN으로 삭제 불가능
- VLAN 2~1001 추가, 변경, 삭제 가능
- VLAN 1002 ~ 1005 토큰링과 FDDI용
-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
- PC: 4대
- 스위치(SW): Cisco 2960, 2대

- VLAN 설정
공통 | Switch> en Switch# conf t Switch (config) # hostname SW1 SW1 (config) # vlan 10 SW1 (config-vlan) # exit SW1 (config) # vlan 20 SW1 (config-vlan) # exit SW1 (config) # int fa0/1 SW1 (config-if) # switchport mode access SW1 (config-if) # switchport access vlan 10 SW1 (config-if) # int fa0/2 SW1 (config-if) # switchport mode access SW1 (config-if) # switchport access vlan 20 SW1 (config-if) # int fa0/3 SW1 (config-if) # switchport mode trunk |
※ 참고 : VLAN 및 Trunk 설정 확인 - VLAN 설정 확인 SW1 # show vlan - Trunk 인터페이스 확인 SW1 # show int trunk |
※ 참고 : L3 스위치에서 Trunk 설정 (L2 스위치의 경우, IEEE 802.1q 사용) SW1 (config) # int fa0/3 SW1 (config-if) #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 isl} SW1 (config-if) # switchport mode trunk |
- VLAN 설정 테스트
![]() 192.168.10.100에서 ping 테스트 |
![]() 192.168.20.100에서 ping 테스트 |
즉, 다음 그림과 같다.

- VLAN native 설정
공통 | SW1 (config) # vlan 99 SW1 (config-vlan) # exit SW1 (config) # int fa 0/3 SW1 (config-if) # switchport trunk native vlan 99 |
- VLAN allowed 설정
공통 | SW1 (config) # int fa0/3 SW1 (config-if) #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20 |
3. VTP(VLAN Trunking Protocol)
VTP(VLAN Trunking Protocol)는 네트워크에서 스위치 간 VLAN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자동으로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관리자가 모든 스위치에 일일이 VLAN 설정을 적용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특히 VLAN의 개수가 많아지거나 네트워크 규모가 커질수록 VLAN 설정 누락이나 오류를 방지하는 데 유용하다.
- VTP 모드
- Server : VLAN 설정을 변경(추가, 이름 변경, 삭제) 가능. VLAN 설정을 변경하면 변경된 정보를 VTP Domain의 모든 스위치로 전파함
- Client : VLAN 설정을 변경 할 수 없음. VTP Client가 가진 VLAN 정보를 다른 VTP 스위치로 전파함
- Transparent : VLAN 변경 사항은 로컬 스위치에만 적용되며, 다른 스위치로 전파되지 않음. 도메인 안에서 수신된 VTP 메시지를 다른 스위치로 전파함.
-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
- PC : 4대
- 스위치(SW) : Cisco 2960, 3대

- VLAN 설정
SW1 | SW1 (config) # int fa0/24 SW1 (config-if) # switchport mode trunk SW1 (config-if) # exit SW1 (config) # vtp domain cisco SW1 (config) # vtp mode server |
SW2, SW3 | (위 SW1과 동일) SW2 (config) # vtp mode client |

- VTP의 실무 사용이 제한적인 이유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VTP를 잘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별도의 VTP Server 구성 | VTP는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로 동작하기 때문에 중앙 VTP 서버가 필요함. 이로 인해 관리의 복잡성이 증가할 수 있음. |
오류 전파의 위험성 | VTP Server에서 잘못된 VLAN 설정이 이루어지면, 해당 설정이 모든 클라이언트 스위치로 즉시 전파됩니다. 이는 네트워크 장애를 초래할 수 있음. |
기본 모드로 인한 위험성 | 스위치가 기본적으로 VTP 서버 모드로 설정되어 있어, 새로운 스위치가 네트워크에 추가되면 기존 VLAN 설정을 덮어쓰는 위험이 존재함. |
투명 모드 선호 | 실무 환경에서는 VLAN 관리를 보다 세부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VTP Transparent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투명 모드에서는 스위치가 자신의 VLAN 설정만 관리하고, 다른 스위치와 정보를 공유하지 않음. |
네트워크 설계 변경의 유연성 부족 | VTP를 사용할 경우, VLAN 구성을 중앙 서버에 의존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설계 변경 시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음. |
'Packet Tracer >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er] OSPF, EIGRP (0) | 2024.11.22 |
---|---|
[Switch] Port Security (1) | 2024.11.22 |
[Switch] PVST+, PVRST+ (1) | 2024.11.22 |
[Switch] STP (0) | 2024.11.21 |
[Switch] Inter VLAN Routing (0) | 2024.11.20 |